본문 바로가기

- Book./冊.冊.冊

- Carl Gustav Jung







.....내 생애 처음만나는 칼 구스타프 융
 

ㆍ저자 : 사카모토 미메이 / 노지연 역

ㆍ출판사 : 현실과미래사

ㆍ출판년도 : 1999년

ㆍ분류 : 인문 > 심리학 > 심리학 일반.....

 

 

지동설, 진화론과 더불어 인류의 자존심에 더할 나위 없는 상처를 남겼다고 평가받는

무의식의 발견은 20세기 사상의 지형도를 크게 변화시켰다.

인간의 의식에 전폭적인 신뢰를 부여함으로써 가능했던 이성 중심의 구도에 균열이 생겼던 것이다.

자기 육체와 사고의 중심이 자아가 아니라는 발견으로 프로이트가 누린 정신적 스승으로서의 지위는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의 입론은 다분히 리비도 에너지,

오이디푸스 제국주의라는 또다른 비판을 면하지 못하는 것 역시 당연하다.

무의식이라는 어두운 대륙의 초창기 발견자들 사이에 오갔던 무수한 논의들의 역사를 고려한다면

오늘날 우리가 프로이트에게 부여하는 지위는 다소간 독점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또 어떤 논의가 가능할 수 있을까?

칼 구스타프 융의 세계는 우리에게 그의 이름만큼 잘 알려져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것은 우리의 지적 편향 못지않게 융의 세계가 갖는 난해함에 기인하는 것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

융은 남성과 여성,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 젊음과 노년, 자아과 자기 등속의 대립적 개념들의 머나먼 거리를

거침없이 횡단하며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이론을 전개해 나간다.

그로 인해 초심자들은 융의 세계는 접근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

이 책은 그러한 어려움을 만화가 갖는 재미와 직관적 이해를 통해 극복하고 있다.

융의 인간관계를 통해 사유가 어떤 경로를 거치며 발전해 가고 있는지를,

정신주의와 신비주의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던 당시의 시대 배경을 토대로 상세하게 묘사되고 있다.

양친 사이에서 해결되지 않은 감정적 응어리를 가지고 평생을 살았던 그가 어떻게

스승 브로일러와 프로이트에게 의지하고 또 그런 상징적 부친상을 살해함으로써 자립하고자 했는지,

영매로서의 능력을 갖춘 어머니와 사촌 여동생을 비롯해 여리 여성들과의

깊은 관계 속에서 여성성에 대한 공포를 어떻게 극복해 갔는지,

융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를 줄기로 '원형' 이라든지 '동시성' 같은 융만의 독창적인 논의의 시작을 알게 해 준다.

이를 바탕으로 독자는 융의 세계에 본격적인 접근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C.G.Jung [1875~1961]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

 

 

Carl Gustav Jung [칼 쿠수타프 융]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은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이자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의 창시자이다.

1875년 스위스 북동부 작은 마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고,

스위스 바젤 대학 의학부를 나온 뒤 취리히 대학 의학부 정신과의 오이겐 블로일러 교수 문하에 들어갔다.

그곳의 교수직에 있으면서 단어연상검사를 연구하여 '콤플렉스' 학설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정신분열증의 심리적 이해와 이에 대한 정신치료를 처음으로 시도했다.

이 당시 프로이트 학설에 접하여 한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파의 핵심인물로 활동하기도 했으나

프로이트의 초기학설인 성욕중심설의 부적절함을 비판하여 독자적으로 무의식세계를 탐구하여

분석심리학설을 제창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자기자신의 무의식과 수많은 사람들의 심리분석작업을 통해서 얻은 방대한 경험자료를 토대로,

원시종족의 심성과 여러 문화권의 신화, 민담, 동서양의 철학과 사상, 종교현상들을 비교 고찰한 결과,

인간심성에는 자아의식과 개인적 특성을 가진 무의식 너머에 의식의 뿌리이며 정신활동의 원천이고

인류 보편의 원초적 행동 유형인 많은 원형(原型)들로 이루어진 집단적 무의식의 층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모든 사람의 무의식 속에서 의식의 일방성을 자율적으로 보상하고 개체로 하여금

통일된 전체를 실현케 하는 핵심적인 능력을 갖춘 원형 즉, 자기원형이 작동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의 학설은 병리적 현상의 이해와 치료뿐 아니라 이른 바

건강한 사람의 마음의 뿌리를 보다 깊고 넓게 이해하고 모든 인간의 자기통찰을 돕는데 이바지하고 있으며 ,

시대적 문화, 사회적 현상의 심리적 배경을 이해하는 기초로서 정신의학이나

심리학, 신학, 신화, 민담학, 민족학, 종교심리학, 에술, 문학은 물론 물리, 수학등 자연과학에 이르기까지

깊은 영향을 끼쳤왔다.

융은 심혼(心魂)의 의사(Seelenarzt)로서 자기실현의 가설을 몸소 실천하였을 뿐 아니라

20세기 유럽이 낳은 정신 과학자 중에서 동양사상(東洋思想)을 누구보다도 깊이 이해함으로써

동서(東西)에 다리를 놓았으며, 새 천년(千年)에 인류가 무엇을 보고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제시한 사람이다.